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노크리듬 이론 [투렛 증후군]

by 부를향한여정 2023. 1. 8.
반응형

한 가지 가상적인 사례가 반증가능성 기준이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줄

수 있다. 한 학생이 내 연구실 문을 노크한다. 내 연구실에 같이 있는

동료교수는 각기 다른 유형의 사람들이 노크할 때 사용하는 리듬에

관한 이론을 가지고 있다. 내가 문을 열기 전에 그 동료교수는 노크한

사람이 여학생이라고 예언한다. 문을 열고 보니 정말로 여학생이다.

 

나중에 나는 그에게 인상적이라고 말은 하겠지만, "노크리듬 이론"이

없어도 우연히 맞힐 가능성이 50%나 되기 때문에 그렇게 정색을 하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대학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그 가능성이 더 높다. 그는 더 정확하게 예언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다시 노크소리가 들린다. 그는 22세가 안된 남자라

고 예언한다. 문을 열고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남학생을 발견한다.

 

우리 학교에는 22세가 넘은 학생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나는 그 외

예언이 상당히 인상적이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나는 학교에는 젊은

남학생들이 상당히 많지 않으냐고 주장한다. 나의 인정을 받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아차린 그는 "여자이고, 나이는 30세, 키는 160cm, 왼손에 책과 지갑을

들고 있고, 오른손으로 노크를 하였다"고 선언한다. 문을 열고 그 예언을

완벽하게 확증한 후에 나의 반응은 이제 완전히 달라진다. 동료가 속임

수를 써서 그 사람들이 순서대로 내 연구실에 나타나도록 시전에 배치하

지 않았다는 전제 아래, 나는 이제 완전히 인정한다고 말한다.

 

예언은 "그럴 수도 있지"에서부터 "정말 대단하군"에 이르기까지

각기 다른 세 반응을 초래한 것인가? 그 답은 예언의 상세함과 정확성과

관련 있다. 예언이 상세할수록 확증될 때 더욱 강력한 인상을 남긴다.

상세화는 반증기능성과 정비례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기 바란다. 예언이

보다 상세하고 정확할수록, 그 예언을 반증할 수 이쓴 잠재적 관찰이

많아진다. 예컨대, 키가 160cM이면서 30세가 아닌 여성은 상당히 많다.

 

내가 나타낸 여러 반응을 통해서 암묵적으로 나는 일어나지 않을 사건의

수가 최대가 예언을 하는 이론에 보다 감명받을 것임을 보여주었다는 사실에 주목하기 바란다.

결국 좋은 이론이란 자신을 반증가능성에 노출시키는 예언을 하는 것이다.

나쁜 이론은 이런 방식으로 자신을 위험한 궁지에 빠뜨리지 않는다.

지극히 보편적인 예언을 함으로써 항상 사실일 수밖에 없도록 

만들거나 아니면 반증가능성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될 수 있는 방식으로

진술된다. 실제로 어떤 이론은 반증가능성으로 부터 차단됨으로써 더 이상

과학적이라고 간주할 수 없게 된다.

포퍼는 과학과 비과학을 구분 짓는 기준을 정의하는 과정에서 반증가능

성 원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투렛 증후군]

대뇌 질환 연구에 대하여 정신분석학이 미친 역행적

효과에 관한 고전적인 사례이다. 라 투렛은 이 증후군이 대뇌의 퇴화과정

때문에 것으로 간주하였다. 금세기 전반부에 프로이트 이론이 유행

하게 됨에 따라서, 이 증후군에 대한 관심사가 대뇌로부터 멀어지고

말았다. 

이러한 퇴행적 움직임의 결과로 환자들은 신경과 의사 대신에

(일반적으로 정신분석학적 입증을 취하고 있는) 정신과 의사에게

보내짐으로써, 신체검사와 분석이 수행되지 않았던 것이다.

 

사피로 등은 자신의 환자가 "안면경련을 멈추려 하지 않는 이유는 안면경련이 성적 쾌감의

원천이 되면, 무의식적 성적 추구의 표현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한 정신분석학자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다른 정신분석학자는 안면경련이 "수음의 상동적인 대응물이며

성감과 연계된 리비도가 신체의 다른 부위로 대치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세 번째 정신

분석학자는 안면경련을 "항문 변태성 욕적 수준에서 일어나는 전환 증상"으로 간주하였다.

네 번째 정식분석학자는 투렛 증후군 환자가 "자기애적 지향성뿐만 아니라 강반적 특성"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환자의 안면경련은 "감정 증후군, 즉 의도적인

감정에 대한 방어를 나타낸다"고 생각하였다.

실제로 이러한 사례들은 수도 없이 많으며, 무지에 의한 과신이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