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신경과학
발달신격학은 비교적 신생 영역으로 새로운 행동의 출현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 분야는 1960년대까지는 방법론의 제한으로 연구의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 신경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뇌 발달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고 뇌 발달이 행동의 변화와 관련된다는 가설들이 지지되면서 다학제적 성격을 갖고 있는 발달신경과학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초기에는 뇌 발달은 유전이 전개되는 과정이며 특정 뇌 부위의 발달은 인지, 지각, 운동 등의 특수한 능력의 발달과 관련된다는 믿음을 가져왔다. 그러나 뇌 발달은 전적으로 유전적 과정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으며 많은 가소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뇌에 기반을 둔 마음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최근의 발달신경과학은 발달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학문으로 급속한 발전을 하고 있다.
발달정신병리
기존의 발달심리학은 정상 발달 경로를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정상 발달 경로에서 벗어난 이상 발들은 별개의 문제로 취급하였다. 그러나 정상과 이상을 분리하는 이분법적 발달경로는 발달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진단 및 개입 프로그램에 도움이 되지 않음이 드러나면서 발달 경로에 관한 새로운 틀이 필요했고, 발달정신병리가 등장하였다.
발달정신병리학은 다학제적 성격을 띤 신생 영역이다. Sroufe와 Rutter에 따르면 발달정신병학은 부적응 행동의 기원과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부적응의 이상 발달을 정상 발달 경로와 함께 고려한다. 정상 발달에 대한 지식은 이상 발달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며 이상 발달에서 얻어진 지식들은 정상 발달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고 가정함으로써 이분화된 발달 경로를 통합시킨다.
발달정신병리에 따르면, 정상 발달과 이상 발달은 여러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며, 이 요인은 크게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요인의 특성과는 별도로 발달은 개인적 취약성과 탄력성에 의해 발달경로가 달라진다. 또한 각기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정은 발달의 단선성을 가정하는 기존의 관점과는 명확히 구별된다.
다이내믹 시스템 이론
발달은 개체에게 있어서는 끊임없는 새로운 행동의 출현이다. 전 생애에 걸쳐 나타나는 새로운 행동의 출현 때문에 때때로 발달 현상은 임의적이고 원칙이 없고 혼란스럽게 보이기도 한다. 질서 정연하고 예측 가능해야 하는 과학의 영역에서 임의적이고 혼돈스럽기까지 한 발달 현상은 연구하기 어려운 주제였다. 그래도 기존의 과학적 패러다임 속에서 발달 현상을 분해하고 요소로 나누어 발달적 변화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발달의 전체 틀을 볼 수 없다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변화를 다루는 발달심리학에서 변화를 전체적으로 보고 이를 설명할 수 없다면 이는 발달심리학에서 꼭 설명하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문제를 놓치는 것이다. 새로운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고 시간이 자남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이는 발달심리학의 핵심 문제인 것이다.
발달심리학의 핵심 문제는 심리학 영역 밖에서 다이내믹 시스템 접근이라는 이름으로 버탈란피와 프리고진 등에 의해 시작되었다. 생물학자 버탈란피는 요소주의를 비판하며 각 하위 요소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상위의 특징을 이해할 수 이해할 주장 하였다. 이는 요소들의 합에는 단순 가산의 것 이상의 새로움이 드러날 수 있는 상호작용이 있음을 시시하는 것이며 이는 다이내믹 시스템의 창발적 특징이 나타나는 방식이다.
버탈란피와 더불어 새로운 행동의 출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내놓은 사람은 화학자 프리고진이다. 물리 세계에서는 뉴턴의 열력학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무질서해진다. 그러나 생물학적 시스템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생물체가 닫힌 시스템이 아니라 환경으로부터 에너지를 주고받는 열린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열린 시스템은 환경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점차 질서가 증가한다.
발달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복잡성과 조직화가 증가하는 좋은 예이다. 이는 인간이 열린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열린 시스템은 초기 조건에 민감하며 비선형이며 자기 조직화라는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이런 시스템은 요도으로부터 나온 소음을 기본으로 갖고 있다. 닫힌 시스템에서의 소음은 점차 소멸되고 전체 시스템은 평형상태로 남지만 열린
시스템과 같은 불평형 시스템에서는 요동이 확대되고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조직화가 일어나면 이는 새로운 조직화의
질서로 전환된다. 이것이 발달 현상이다.
다이내믹 시스템 접근은 인간 발달의 모습을 전체의 시각에 조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다이내믹 시스템 접근은 새로운 행동의 기원 및 발달 패턴에 대한 문제 등 복잡하고 무질서하여 전통적 관점에서 다루지 못했던 부분을 이론 안에 포함시키고, 선형적 발달에 포함되지 못했던 비선형적 발달 패턴을 수용함으로써 발달을 보다 포괄적이고 전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의 발달 과정 (0) | 2023.01.18 |
---|---|
인간 발달의 신경심리학적 기초 : 뇌 발달 (0) | 2023.01.17 |
1960년대 이후의 발달심리 (0) | 2023.01.16 |
인간발달이론의 확장(20세기 초반~1950년대) (0) | 2023.01.15 |
발달심리학의 시작 (0) | 2023.01.15 |
댓글